통신(3)
-
하트블리드(HeartBleed) 취약점 *CVE-2014-0160
*CVE-2014-0160데이터그램 전송계층 보안(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의 하트비트 확장은 매번 연결을 재시도하지 않아도 안전한 통신 연결을 테스트하고 유지시키는 방법을 제공 하트블리드 버그는 OpenSSL 1.0.1 버전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버퍼 초과 읽기로 분류되는데 소프트웨어가 허용된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읽게 하는 상황을 가리킴이 문제는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요청하는 하트비트 요청 메세지를 무시함으로써 수정할 수 있음 OpenSSL라이브러리의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하트비트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무슨 문제는 없는지 또는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 신호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함 하트비트의 정상적인 통신 클라이언트는 하..
2018.09.21 -
linux libpcap.h documentation
#define HAVE_REMOTE#include main(){ pcap_if_t *alldevs; pcap_if_t *d; int i=0; char errbuf[PCAP_ERRBUF_SIZE]; /* Retrieve the device list from the local machine */ if (pcap_findalldevs(&alldevs, errbuf) == -1) { fprintf(stderr,"Error in pcap_findalldevs(&alldevs, errbuf: %s\n", errbuf); exit(1); } /* Print the list */ for(d= alldevs; d != NULL; d= d->next) { printf("%d. %s", ++i, d->name); if (d..
2018.04.11 -
TCP와 UDP의 차이점
흔히들 TCP 와 UDP 의 차이점 하면 동기방식/비동기방식 이렇게만 알고 있고 이게 무슨뜻인지는 모르는 사람이 많다. 여기서 동기/비동기라 함은 3way handshaking 이라고 보면 된다. TCP는 동기화 즉 3way handshaking을 통해서 신뢰성이 높은 연결을 하며, 대신 속도가 느리다UDP는 비동기화 즉 3way handshaking을 거치지 않아 신뢰도가 떨어지지만 TCP에 비해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 게임을 예로들어보자면 게임 캐릭터가 이동, 공격, 스킬 사용 등은 UDP 방식으로 한다. 왜냐, 그렇게 중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을 해도 같은 값을 다시보내주면 그만이다.하지만 아이템을 구입하거나 현금거래 등을 할 시에는 TCP 방식으로 사용한다. 금전적인 문제는 아무리 ..
2017.07.14